2050년은 먼 미래가 아닙니다.
불가 25여년의 가까운 미래 입니다.
전 세계 많은 해양 연구소에서는 2050년 산호초가 멸종 할 지 모른다는
암담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2050 is not a distant future.
It is 25 years in the near future.
Many marine research institutes around the world have published dismal studies
that suggest that coral reefs may become extinct by 2050.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지구상의 99%의 산호초가 멸종 할 수 있다고 경고 합니다.
이 경고는 2022년의 경고 였으며 2024년 지금의 우리는 사상 최고 기온의 여름을 지났습니다.
전 세계에서 기후위기로 인한 자연 재해는 2024년 1년 내내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했습니다.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된 결과들을 직접 시청해 보세요.
Global Future Councils: 15 years of impact
99% of coral reefs could disappear if we don't slash emissions this decade, alarming new study shows - Feb 4 2022
Corals provide 375 billion dollars in economic value per year, including protecting coastal cities by dissipating the energy of waves – but 75% of coral reefs are under threat. Nathalie Goodkin, Associate Professor at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explains why – and how greater knowledge of corals can help us understand our changing climate. http://www.weforum.org/ The World Economic Forum i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Public-Private Cooperation. The Forum engages the foremost political, business, cultural and other leaders of society to shape global, regional and industry agendas. We believe that progress happens by bringing together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who have the drive and the influence to make positive change.
https://youtu.be/OiHr5DWd3EE?si=O8_dJwqxz8MSLXrI
99% of coral reefs could vanish if we don't act fast - study | World Economic Forum
Why should we care about coral reefs?
왜 우리가 산호초를 신경써야 할까?
Coral reefs are suffering – and we aren’t going to save them through small-scale, feelgood actions like reusing our shopping bags or hotel towels. Kristen Marhaver is Postdoctoral Scholar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Merced, working at the Caribbean Research and Management of Biodiversity (CARMABI) Research Station in the Netherlands Antilles. She explains why coral reefs matter, and what actions we need to take. Watch her World Economic Forum Betazone here: http://bit.ly/2fd6ScP
산호초는 고통받고 있으며, 우리는 쇼핑백이나 호텔 수건을 재사용하는 것과 같은 소규모의 기분 좋은 행동을 통해 산호초를 구하지 않을 것입니다. Kristen Marhaver는 University of California at Merced의 박사 후 연구원으로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CARMABI(Caribbean Research and Management of Biodiversity) 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산호초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우리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설명합니다. 여기에서 그녀의 세계 경제 포럼 Betazone을 시청하십시오.
https://youtu.be/fQpqf1D1_uA?si=dlfVQ0DUBHzRCC3S
네덜란드의 CARMABI 연구소를 방문하여 연구 리서치를 확인해 보세요.
Projects - DCNA
https://youtu.be/3kb0bz-3lWc?si=9tTRoEeh4qgbBKw2
해양보호 - Greenpeace Korea | 그린피스
그린피스는 전 세계 각국에 해양보호 법률 비준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그린피스는 바다를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보호하기 위해 한국을 포함한 UN회원국에
해양조약 제정을 요구해, 국제적 구속력을 갖는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고자 합니다.
[보고서] 글로벌 해양조약을 통한 해양보호 - 30x30 달성을 위한 로드맵 - Greenpeace Korea | 그린피스
(하기는 그린피스의 자료입니다. 그린피스 홈페이지에서 직접 읽어 주세요.)
인간활동 등으로 인해 공해에 계속해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새롭게 분석한 본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해양조약을 통해 2030년까지 전 세계 해양의 30% 이상을 보호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모든 국가가 2022년 에 유엔에서 합의한 대로 ‘30X30’ 목표를 실현하려면, 해마다 1,100만km2의 바다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글로벌 해양조약이다.
바다는 거대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30X30 목표를 달성할 시간 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각국 정부는 2025년 6월에 열릴 유엔 해양회의(UNOC, UN Ocean Conference) 전까지 글로벌 해양조약을 비준함으로써 30X30 을 실현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UN 2025 Ocean Conference |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Our Ocean, Our Future, Our Responsibility
"The ocean is fundamental to life on our planet and to our future. The ocean is an important source of the planet’s biodiversity and plays a vital role in the climate system and water cycle. The ocean provides a range of ecosystem services, supplies us with oxygen to breathe, contributes to food security, nutrition and decent jobs and livelihoods, acts as a sink and reservoir of greenhouse gases and protects biodiversity, provides a means for maritime transportation, including for global trade, forms an important part of our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and plays an essential role in sustainable development, a sustainable ocean-based economy and poverty eradication."
우리의 바다, 우리의 미래, 우리의 책임
"바다는 우리 행성의 생명체와 우리의 미래에 필수적입니다. 바다는 지구의 생물 다양성의 중요한 원천이며 기후 시스템과 물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다는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우리가 숨을 쉴 수 있는 산소를 공급하고, 식량 안보, 영양, 양질의 일자리와 생계에 기여하고, 온실 가스의 흡수원이자 저장고의 역할을 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고, 세계 무역을 포함한 해상 운송 수단을 제공하고, 자연 및 문화 유산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해양 보호는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과 빈곤의 해결과 직결됩니다.
https://youtu.be/2lP9_AbShDk?si=Wt8EDkIBHQfMaGqq
Oceans and Seas |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https://youtu.be/7-DQNTKOO1M?si=7SHeEm8GaRkj8zU2
Scientists Are Breeding Super Coral That Can Survive Climate Change
전 세계 과학자들은 기후위기에서 산호초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의 힘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우리의 바다가 죽어가고 산호초의 멸종을 우리 세대에서 있게 해서는 안됩니다.
https://youtu.be/hOsZOpp6x4c?si=T-iKPsM_vcLNwu0w
Climate change is already degrading coral reefs globally. Now we know that protecting the last remaining temperature refuges will not work on its own. Slash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is decade is the best hope for saving what remains.
Finding these refugia is difficult, though, as they are likely to be small and the resolution of climate projections that model changes in ocean temperatures over time tend to be too coarse. Our team increased the resolution of climate model projections by downscaling them with historical data from satellite observations to find out where refugia are likely to persist in the future.
We found that, from 1986 to 2019, 84% of the world’s reefs offered sufficient thermal refuge. This meant corals had enough time to recover in between bleaching events. With 1.5°C of global warming above pre-industrial levels, only 0.2% of these refugia remain. At 2°C of warming, safe havens from heat for coral reefs will no longer exist.
우리는 1986년부터 2019년까지 전 세계 산호초의 84%가 충분한 열 피난처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것은 산호가 백화 현상 사이에 회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지구 온난화가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5°C 높아진 상황에서 이 중 0.2%만 남아 있습니다. 섭씨 2°C의 온난화가 되면, 산호초의 열로부터 안전한 피난처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The future of coral reefs - 산호초의 미래 (세계경제포럼 - 발췌)
Global warming of 1.5°C is the lower limit that world leaders aspired to maintain when they signed the Paris agreement in 2015. This target is moving further out of reach. For coral reefs, there is no safe limit to global warming. Given the rate at which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is increasing, marine heatwaves are likely to become so frequent that most of the world’s coral reefs will experience intolerable heat stress regularly. Most reefs have already experienced at least one such event this decade.
Not all regions are stressed at the same time as heatwaves are not global, nor do all corals bleach. Some coral species are more capable of coping with extreme temperatures than others due to their growth form or the type of algae within their tissue. Still,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heatwaves predicted in this study will probably affect even resistant coral species, suggesting the world will lose most of its reef biodiversity. Coral reefs of the future are likely to look very different to the colourful and diverse ecosystems we know today.
지구 온난화 1.5°C는 세계 지도자들이 2015년 파리 협정에 서명할 때 유지하고자 했던 하한선입니다. 이 목표는 손이 닿지 않는 곳으로 점점 더 멀어지고 있습니다. 산호초의 경우 지구 온난화에 대한 안전한 한계는 없습니다. 지구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속도를 감안할 때 해양 열파가 너무 잦아져 전 세계 대부분의 산호초가 참을 수 없는 열 스트레스를 정기적으로 겪게 될 것입니다. 대부분의 산호초는 이미 지난 10년 동안 적어도 한 번은 그러한 사건을 경험했습니다.
폭염이 전 세계적이지 않고 모든 산호가 백화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모든 지역이 동시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산호 종은 성장 형태나 조직 내 조류 유형으로 인해 다른 종보다 극한의 온도에 더 잘 대처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 예측된 열파의 규모와 빈도는 저항성 산호 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세계가 산호초 생물 다양성의 대부분을 잃을 것임을 시사합니다. 미래의 산호초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다채롭고 다양한 생태계와 매우 다르게 보일 것입니다.
죽어가는 산호초가 건강한 산호의 소리를 듣고 살아난다는 연구 결과는 놀랍습니다.
https://youtu.be/GX0YEuAu38A?si=q-zGnhTzvwJ-MOrO
https://youtu.be/63NBmt4AmUo?si=HFLLrlc6crUZrgHp
솔로몬 제도 푸른 바닷속에 펼쳐진 산호의 크기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줄자로 재어보니 폭 34m, 길이 32m, 높이 5.5m에 이릅니다. 아메리칸 사모아에 있는 기존 최대 규모였던 '빅맘마'보다 무려 3배나 큰 것입니다. 최초 발견자는 거대한 것이 물속에 있길래 처음에는 난파선으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마누 산 펠릭스 / 최초 발견 수중촬영감독 : 제가 처음 발견했을 때를 기억하는데 보자마자 독특한 것을 찾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엄청나게 컸기 때문입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다큐멘터리 팀과 해양 과학자들은 최근 솔로몬 제도의 남동쪽 끝인 '세 자매 섬' 부근에서 이 산호를 발견했습니다. 추정되는 나이는 300살에서 500살. 연구원들은 10억 개의 폴립으로 이루어진 '파보나 클레이버스'(Pavona clavus)라는 종의 단일 산호초라고 보고했습니다. 여러 종의 산호가 결합한 군락과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바닷물의 깊이는 12미터에 불과했지만 솔로몬 제도 당국은 존재를 알지 못했습니다. (YTN 을 통해 뉴스를 직접 시청해 주세요.- 출처 YTN 유튜브)
최근 솔로몬 제도에서 거대한 산호초 군락지를 발견했습니다. 무려 300살 이상의 산호초 군락지라고 합니다.
바다 속에는 우리가 미쳐 발견하지 못 한 무수한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오페라 칼레아 부탈소로는 2180년의 미래 지구에 대재앙인 바다폭풍 칼레아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2180년의 미래가 아닌 지금 당장, 지구의 해수면은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제공하는 여러 데이터를 직접 분석해 보시고
2024년의 지금을 사는 우리는
반드시 미래 세대에 지금 보다 더 나은 환경과 바다를 물려줄
책임이 있습니다.
환경과 바다 ................. 우리 인간은 잠시 빌려 쓰고 있습니다.
인간만이 유일한 결정권을 가진 지구의 피조물입니다
https://youtu.be/quF_nf9DpTo?si=sjTjV4WXFjdFuvm4
오페라 칼레아 부탈소로의 피아니스트인 김주은은
솔로 피아노 앨범 4번 트랙을 통해 산호초의 몸부림을 음악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Piano Jueun Grace KIM - Breezing Piano Dying Ocean
Track List
1. Whispers of the Ocean (piano)
2. Butterfly in a Submarine (piano)
3. Breezing Piano Dying Ocean (Title)
4. Coral reefs Bleaching
5. The Legend of Labyrinth (piano)
Breezing Piano Dying Ocean - EP by Jieun Lee, Jueun grace KIM | Spotify
https://youtu.be/VQ6dTyNcal8?si=UmRdLjr0PsaFQ04U